코로나 전후 건강과 사회경제요인 간 연관 강도 차이 규명
서울대병원 윤제연 교수팀 "취약층 재정적·사회적 지원 강화해야"

가계 월수입이 낮거나 교육 수준이 낮으면 정신사회적 건강 불평등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 악화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와 정신건강의학과 윤제연 교수, 한림대 인공지능융합학부 심진아 교수 연구팀은 성인 2,2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및 2021년 코로나19 발생 전후 건강 상태와 사회경제인구학적 요인 간 연관 강도 차이를 규명한 연구 결과를 27일 밝혔다.

그동안 코로나19 이전과 비교, 코로나 기간 건강 불평등에 대한 경제 요인의 차별적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주관적 건강 상태와 사회경제인구학적 요인 사이의 연관성의 강도를 코로나19 발생 전후로 비교해 건강 저하의 고위험군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했다.

연구팀은 연령성별 분포를 반영해 표본 추출한 성인 2,20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통해 신체(정상 체력) 건강 정신(스트레스 대처와 기분 안전성) 건강 사회(사회 기능 및 대인관계) 건강 영적(자원봉사와 종교활동) 건강과 관련 2018(1,200)2021(1,000) 2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했다.

주관적 건강 상태에서 건강 상태가 최고 또는 아주 좋다고 평가한 응답은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코로나19 이후 정신 건강(201838.71%, 202135.17%), 사회 건강(201842.48%, 202133.28%) 모두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추가적으로 코로나19 대유행 전후 신체정신사회영적 건강 분포를 비교해 사회경제인구학적 요인과 주관적 건강 상태 간 영향력(오즈비) 크기의 차이를 분석했다. 오즈비는 집단 비교 시 특정 사건의 발생 가능성 차이가 유의미한지 정도를 검증하는데 사용된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대유행 후 낮은 정신사회적 건강에 대한 영향력은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가계 월수입(3,000달러 미만)’최종학력’(고졸 이하) 등 사회경제 요인으로 나타났다.

430만원(3,000달러) 미만 가계 월수입이 불충분한 정신 건강에 대한 영향력은 약 1.8(2018)에서 약 2.4(2021)로 코로나 이후 증가했다. ‘사회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1.7(2018)에서 약 2.5(2021)로 코로나 이후 마찬가지로 증가했다.

가계 월수입과의 연관성 증가 외에도 고등학교 졸업 또는 그 이하 최종학력이 불충분한 사회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 또한 약 2.3(2018)에서 약 2.6(2021)로 늘었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가계 월수입이 낮거나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의 정신‧사회적 건강에 대한 주관적 건강 악화 위험은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코로나 대유행 기간 동안 더 강해진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제연 교수는 코로나 대유행은 사람들의 일상생활뿐 아니라 건강상태 및 경제적 안전성의 유지에 큰 위협을 가져왔다이번 연구를 계기로 코로나 이후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국민의 정신사회적 건강증진을 위한 정책 등이 시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는 경제적 격차로 인한 건강 불평등이 코로나 위기로 인해 더 악화할 것이라는 국민과 기업들의 우려가 실제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건강 불평등을 완화할 수 있도록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우선적으로 재정적 및 사회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의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BMC 공공보건(BMC Public Health)> 최근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