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최준영 교수팀, '바바 로봇 갑상선수술’ 한계 넘어
흉터‧수술 후 출혈‧목소리 변화‧부갑상선 기능 저하↓

최준영 교수. 사진=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최준영 교수. 사진=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지난 2008년 목에 흉터 하나 없이 갑상선 전체를 제거하는 바바 로봇 갑상선절제술을 세계 처음으로 시행한 분당서울대병원이 체구가 작은 소아에서는 이 수술이 불가하다는 한계를 깨고 5세 소녀의 갑상선을 이 수술로 제거하는데 첫 성공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외과 최준영‧유형원 교수, 김우철·이자경 전임의가 참여한 ‘바바 로봇 갑상선 절제술’을 통해 5세 환아의 갑상선 전체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발표했다. 

바바(BABA‧Bilateral Axillo-Breast Approach) 로봇 갑상선절제술은 양쪽 유륜과 겨드랑이에 1㎝ 미만의 작은 절개창을 만들어 갑상선을 절제하는 수술 기법이다. 분당서울대병원에서 고안한 이 수술법은 목에 흉터가 남지 않는데다 유착, 수술 후 출혈, 목소리 변화, 부갑상선 기능 저하 등이 적다는 사실이 입증돼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바바 로봇 수술을 포함한 모든 로봇 갑상선 수술은 어린 소아 환자에 실시하기 어렵다는 선입견이 있어 현재 대부분의 소아 갑상선절제술은 목에 남는 눈에 띄는 흉터를 감수하더라도 갑상선이 위치한 목 앞 부위에 절개창을 내는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로봇 수술이 최소한의 절개만으로도 시행 가능한 이유는 몸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하거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로봇팔의 존재 덕분인데, 소아의 경우 체구가 작아 로봇팔이 움직일 수 있는 몸 속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기 어렵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최준영 교수는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그레이브스병(갑상선기능항진증)을 앓는 18㎏의 5세 소녀에게 바바 로봇수술을 시행, 갑상선 전체를 안전히 절제해내며 바바 로봇 갑상선수술의 한계를 깼다. 

환아의 체구가 성인의 삼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해 로봇 수술 난이도가 대폭 증가하지만, 신체 구조나 신경 등은 성인과 크게 다르지 않아 숙련도만 있다면 피판(수술 공간 확보) 범위를 넓히지 않고도 정확도와 안전성을 높이는 기존의 수술 기법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의료진은 내다봤다.

또한 이 수술을 소아에게 할 때 혈중 칼슘 수치를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부갑상선 조직을 카메라를 통해 보다 명확히 구분할 수 있어 수술 시 보존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확인했다. 수술 중 부갑상선이 손상되면 환아가 손발저림, 근마비, 성장장애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경험하게 된다.

최준영 교수는 “목에 큰 흉터가 없다는 미용적 장점과 목소리 변형이나 부갑상선 기능 저하 등의 위험이 낮다는 기능적 장점 모두 수술 이후 환아의 성장 과정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소아 로봇수술의 성공 사례를 축적하고 방법론을 공유해 소아 환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로봇수술의 이점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수술 사례는 국제 학술지 ‘Head and Neck’ 최신호에 게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