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경희대병원 연구팀, 부모-자녀간 지방간 발병 상관관계 규명

청소년기에 지방간을 앓으면 다른 간 질환뿐 아니라 심혈관계 질환과 당뇨 등 다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부모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부모 가운데 누구라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지방간)이 있으면 자녀 역시 지방간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곽금연신동현 교수, 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박예완 교수 공동 연구팀은 부모-자녀간 지방간 발병 상관관계를 규명한 연구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2019년 사이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12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 자녀를 둔 가정 1,737(부모 3,474, 자녀 2,335)의 자료를 활용, 부모 가운데 어느 한쪽이라도 지방간이 있으면 그 자체를 위험 요소로 보고, 실제 자녀의 지방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연구팀 분석 결과, 부모에서 자녀로 이어지는 지방간의 연결 고리는 뚜렷했다. 지방간이 없는 부모를 둔 자녀(1,336명)의 지방간 유병률은 3.1%에 그쳤다. 이에 비해 부모가 지방간이 있는 자녀(999명)의 지방간 유병률은 10.2%로 껑충 뛰었다.

부모의 지방간 유무에 따라 자녀들의 지방간 유병 위험을 통계적으로 예측한 값 역시 마찬가지였다. 부모 모두 지방간이 없는 자녀와 비교해 부모 가운데 누구라도 지방간이 있으면 1.75, 부모 둘 다 지방간이 있으면 2.6배까지 자녀의 지방간 발병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의 비만도(BMI)와 복부 비만, 중성지방, 고밀도 지질단백질(HDL cholesterol), 수축기 혈압, 간수치(ALT), 공복 혈당 등 지방간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사질환 관련 지표들을 모두 반영한 결과 값이다.

연구팀은 부모의 지방간 유무가 자녀의 지방간 유병 위험을 키우는 직접 원인이고,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적 요소가 중요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 이번 연구에서 부모가 지방간이 있는 가정이나 없는 가정 양쪽 모두 자녀의 1일 총 칼로리나 탄수화물 섭취량, 신체 활동 정도에서 차이가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환경 요인보다 유전 요인이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곽금연 교수는 지방간을 진단받은 부모는 본인 뿐 아니라 자녀의 간건강도 함께 챙겨야 한다는 것을 증명한 연구라며 이미 북미소아소화기 학회에서는 부모에게 지방간이 있는 비만 아동은 지방간 검사를 권유하는 만큼 국내에서도 청소년의 지방간 조기 발견치료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의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소화기 분야 국제 학술지 <Alimentary Pharmacology & Therapeutics, IF=9.524)> 최신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