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변상균 교수, 이인석 교수, 한국식품연구원 이은정 박사 공동 연구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변상균 교수, 이인석 교수 연구팀과 한국식품연구원 이은정 박사 연구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미세플라스틱 섭취가 ‘장(腸)누수’를 유발하고, 염증성 장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왼쪽부터 연세대 생명공학과 변상균 교수, 이인석 교수, 한국식품연구원 이은정 박사
왼쪽부터 연세대 생명공학과 변상균 교수, 이인석 교수, 한국식품연구원 이은정 박사

플라스틱은 마찰, 빛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작은 미세플라스틱으로 파편화돼 마이크로플라스틱(5mm 이하) 또는 나노플라스틱(1-1000nm)으로 바뀌게 되는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우리가 먹거나 마시는 음식과 물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며, 이것이 우리의 혈액과 장기에서도 검출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섭취한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생물학적, 의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 중 하나인 폴리스티렌 (Polystyrene) 계열 플라스틱을 활용해 실제로 사람이 섭취할 수 있는 양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로 만들어 동물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나노플라스틱 크기로 섭취한 동물에서 장누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발견했다. 또한 염증성 장질환을 가진 동물이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할 경우, 장에서 염증이 더 심해지고 장누수가 증가하는 결과도 확인했다.

미세플라스틱 섭취가 염증성 장질환 동물의 장누수 증가 / 연세대
미세플라스틱 섭취가 염증성 장질환 동물의 장누수 증가 / 연세대

이어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장의 전사체(Transcriptome) 및 대사체 (Metabolome) 분석, 신호전달 경로의 규명을 통해 장의 염증과 누수를 유발하는 미세플라스틱의 분자 기전을 밝혀냈다.

미세플라스틱 섭취는 장내 염증을 촉진하는 유전자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고, 타우린(Taurine)과 같은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주는 대사물질은 감소시켰다.

추가 실험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JAK-STAT 신호전달경로를 교란시켜 세포 접합 단백질의 생성을 감소시키고, 장벽 항상성 유지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음도 보였다.

변상균 교수는 “이번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장 항상성 교란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표적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공중 보건 및 환경 건강 연구 분야 국제학술지 ‘Environmental Research’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