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성필수 교수, 간담췌외과 최호중 교수, 박종근 의생명건강과학과 석사 과정 학생 연구팀은 간 내 축적된 면역 글로불린 A가 간세포암 주변 미세 환경에 존재하는 암 연관 섬유아세포에 영향을 미쳐 면역 세포인 T세포 기능을 약화시키는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발표했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성필수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성필수 교수

섬유아세포는 세포 외 기질과 콜라겐을 합성하는 세포의 일종으로, 동물 조직의 구조적 골격을 생성하고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암 연관 섬유아세포(CAFs)는 종양 미세 환경에서 암 진행·전이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치료 약물 전달을 방해하고 저항성을 일으켜 암 치료를 어렵게 만든다.

연구팀은 서울성모병원에서 간세포암 치료를 받은 환자의 조직 샘플을 분석한 결과, 증가된 면역 글로불린 A는 간 내 섬유아세포에 결합하고 이로 인해 섬유아세포가 면역 억제 기능이 증가하는 표현형으로 분화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이는 항종양 면역 반응을 담당하는 T세포 기능 약화로 이어져 간암 발생 및 면역 치료에 좋지 않은 반응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했다.

증가된 면역글로불린 A는 간 내 섬유아세포에 결합하고 이로 인해 섬유아세포가 면역억제 기능이 증가하는 표현형으로 분화 / 논문발췌
증가된 면역글로불린 A는 간 내 섬유아세포에 결합하고 이로 인해 섬유아세포가 면역억제 기능이 증가하는 표현형으로 분화 / 논문발췌

성필수 교수는 “축적된 간 내 면역 글로불린 A는 면역 억제를 조절하는 새로운 메커니즘이며 간세포암 악화 및 전이의 핵심 요인일 수 있다”며 “환자의 간암 조직을 실제로 이용한 이번 연구로 암연관 섬유아세포의 항종양 면역 기능 약화 기전이 첫 규명된 만큼 간암에서 면역 치료 반응률을 높이려면 암 연관 섬유아세포 제거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간학 분야 국제학술지 ‘Hepatology’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