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증 잦은 시술에서 예방적 항생제 사용 효과 확인
“담관 폐쇄 환자 진단‧치료의 첫 가이드라인 될 것”
쓸개즙이 이동하는 통로인 담관이 막힌 담관 폐쇄 환자에게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에 앞서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면 합병증 발생률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정문재, 임가람 교수 연구팀은 담관 폐쇄 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진행하는 시술인 ERCP를 시행하기에 앞서 항생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한 결과 합병증 발생률이 50% 가까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소화를 돕는 쓸개즙은 간에서 만들어져 담관을 통해 이동한다. 이때 담석증, 암 종양 등에 의해 담관이 막히는 담관 폐쇄를 앓게 되면 황달이 나타나거나 간경화증 같은 간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ERCP)’은 담관 폐쇄 환자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내시경 시술로 사용되지만, 내시경 도구를 담관 내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담관 파열, 감염, 출혈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시술 후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사례는 전체 시술 환자의 10%에 이른다는 발표도 있다.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 시술 전 항생제를 미리 투여하는 방안이 논의되고는 있지만, 그 효과에 관한 임상 연구가 없어 미국과 유럽, 국내에서도 항생제 예방 투여를 권고하지 않는다.
이에 연구팀은 2017년 4월부터 약 4년간 세브란스병원에 담관 폐쇄로 내원한 환자 349명을 대상으로 ERCP 전 항생제 선제 투여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시술 전 항생제를 예방적으로 투여한 A군(176명)과 그렇지 않은 B군(173명)의 시술 후 합병증 발생 빈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시술 전에 항생제를 투여한 군에서 합병증 발생률이 최대 3.5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ERCP 후 자주 발생하는 합병증의 발생률이 줄었다. 세균이 혈관을 타고 돌아다니는 균혈증의 발생률은 A군에서 2.3%(4명), B군에서는 6.4%(11명)였다. 또, 담관염 발생률은 A군에서 1.7%(3명)인 반면 B군에서는 6.4%(11명)로 나타났다.
세브란스병원 정문재 교수는 “담관 폐쇄 진단과 치료를 위해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조영술을 시행하면서 합병증이 많이 발생했지만 시술 전 항생제 투여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없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내시경 시술을 앞둔 담관폐쇄 환자에게는 항생제를 미리 투여할 것을 권고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소화기저널(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IF 9.8) 최신 호에 실렸다.
관련기사
- 방광암, 소변 내 단백 바이오마커로 조기진단 가능성 제시돼
- 린파자, 난소암 1차치료 급여 2년…PARP저해제 시장점유율 1위 비결
- 우리나라 65세 이상 2명 중 1명은 ‘대사증후군’ 환자
- 잦은 복통·설사와 함께 성장 멈춘 내 아이 '소아 크론병'
- 지난해 도수치료 실손보험금 1조 돌파…"가이드라인 필요"
- 대사이상 연관 지방간질환자, 심혈관질환으로 사망 위험 1.4배↑
- 이미 터진 ‘당뇨병 대란’…30대 이상 6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
- 올해도 ‘수능한파’…수능 D-3, 성적관리보다 중요한 건강관리
- 대장암 조기 발견 가능한 혈액검사법 ‘실드’ 국내 출시
- 눈 주변에 뭔가 만져진다?…시력장애 위험 높은 '안와 양성종양'
- 감염병·폭염 몰고오는 '기후변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 국내 진행성 위암 치료에 '키트루다'가 몰고 올 파장
- 치료 성적 높은 간암치료법 '간이식수술'…수술 가능 환자 범위 늘어
- 의사 수 늘리면 문제 해결된다는 ‘환상’…“이대로면 의료붕괴”
- 민주당 "요양병원 간병 질 높인다…간병비 건보 추진”
- "가명화 의료정보 활용도 여전히 불안감 커…상업적 악용 우려"
- 요양병원 간병비 시범사업으로 '간병비 급여' 첫 발 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