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개호 정채위의장, 요양병원 기능 재정립 필요성 강조
더불어민주당이 요양병원형 간호·간병통합서비스와 간병인력 양성체계 마련 등을 포함한 요양병원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을 추진한다.
민주당 이개호 정책위의장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국민들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의 간병비로 고통 받고 있다”며 “간병파산, 간병실직, 간병범죄, 간병살인까지 발생하고 있는 안타까운 수준”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정책위의장은 “관리되지 않는 비전문 간병인력도 문제”라며 “현행법에 간병인에 대한 규정과 자격요건이 전혀 규정돼 있지 않아 간병 전문성은 저하되고 간병 서비스 품질 또한 낮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정책위의장은 “간병인 중개에 대한 구체적 조항이나 표준계약서가 존재하지 않아 계약과 다른 요금이나 서비스 제공으로 갈등이 수시로 발생하고 있고 요양원과 요양병원 입원환자 군이 서로 혼재돼 불필요한 입원환자도 늘고 있는 실정”이라고 했다.
민주당은 요양병원 간병비의 건강보험 적용을 추진하는 한편 간병인에 대한 교육과정과 요양병원형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인력 배치 기준도 마련해 회복기와 만성기 환자에게 적합한 간병 서비스 제공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정책위의장은 “간병 돌봄에 대한 공적 지원을 확대해 사적 간병비 부담을 완화하고 간병의 질을 제고하겠다”며 “간병인은 별도 교육과정을 이수해 요양보호사와 같은 공식적인 간병인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양성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 정책위의장은 “요양병원형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인력 배치 기준도 마련해 회복기와 만성기 환자에게 적합한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병원은 병원답게 시설은 시설답게 운영할 수 있도록 기능을 재정립하겠다”고 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 의사 수 늘리면 문제 해결된다는 ‘환상’…“이대로면 의료붕괴”
- 담관폐쇄환자에 ERCP 전 ‘항생제’ 투여하니 합병증↓
- 린파자, 난소암 1차치료 급여 2년…PARP저해제 시장점유율 1위 비결
- 우리나라 65세 이상 2명 중 1명은 ‘대사증후군’ 환자
- 잦은 복통·설사와 함께 성장 멈춘 내 아이 '소아 크론병'
- 지난해 도수치료 실손보험금 1조 돌파…"가이드라인 필요"
- 대사이상 연관 지방간질환자, 심혈관질환으로 사망 위험 1.4배↑
- 이미 터진 ‘당뇨병 대란’…30대 이상 6명 중 1명은 ‘당뇨병 환자’
- 올해도 ‘수능한파’…수능 D-3, 성적관리보다 중요한 건강관리
- 대장암 조기 발견 가능한 혈액검사법 ‘실드’ 국내 출시
- 눈 주변에 뭔가 만져진다?…시력장애 위험 높은 '안와 양성종양'
- 감염병·폭염 몰고오는 '기후변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 국내 진행성 위암 치료에 '키트루다'가 몰고 올 파장
- 갑자기 닥쳐온 황망한 죽음 ‘돌연사’ 미리 막을 수 있다
- “바이탈 다뤄야 필수의료인가”…미용만 부각돼 불편한 성형외과
- 치료 성적 높은 간암치료법 '간이식수술'…수술 가능 환자 범위 늘어
- 서울의대 홍창의 명예교수, 서재필의학상 수상
- "가명화 의료정보 활용도 여전히 불안감 커…상업적 악용 우려"
- 요양병원 간병비 시범사업으로 '간병비 급여' 첫 발 뗄까
- 건국대병원, 최신형 4세대 단일공 로봇 수술 기기 다빈치 SP 도입
- 서울아산병원, 자체 개발 '1호 로봇'으로 심장 스텐트 시술 첫 성공
- 웰리시스, 삼성전자와 차세대 웨어러블 심전도측정기 개발 추진
- ‘해외 직구 이제 그만’…비타민 K2, 건강기능식품으로 활용 길 열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