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이정아 교수에게 듣는 '암환자 건강관리법'

많은 암환자들이 암 치료에 집중하느라 다른 건강이슈를 간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암환자가 다른 건강이슈를 놓치면 결과적으로 암치료에도 위기가 찾아올 수 있는데, 이런 사실들이 암에 묻혀 암환자에게 건강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이정아 교수는 유튜브 채널 '서울아산병원'에서 "많은 암환자들이 암 치료에 집중하면서 다른 중요한 건강 문제들을 간과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며 "암 치료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겠지만, 다른 건강 이슈도 동시에 신경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은 암환자들이 암 치료에 집중하느라 다른 건강이슈를 간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암환자가 다른 건강이슈를 놓치면 결과적으로 암치료에도 위기가 찾아올 수 있는데, 이런 사실들이 암에 묻혀 암환자에게 건강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사진 제공=게티이미지
많은 암환자들이 암 치료에 집중하느라 다른 건강이슈를 간과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암환자가 다른 건강이슈를 놓치면 결과적으로 암치료에도 위기가 찾아올 수 있는데, 이런 사실들이 암에 묻혀 암환자에게 건강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사진 제공=게티이미지

암환자가 암 치료 이외에 다른 건강이슈를 같이 관리해야 하는 이유가 있다.

이정아 교수는 "암 진단 순간부터 환자들은 이에 맞게 암 치료에 집중하게 되나 암환자가 암 치료에만 전념해 다른 건강 지표를 간과하는 경우, 암 치료에 방해가 되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며 "합병증으로 암 치료가 더디어지고 어려워질 수 있고, 암 치료 이후에도 다른 질환으로 고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이런 까닭에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등 주된 암 치료가 마무리되면 정기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교수는 "암 치료 중에도 다른 질병이 숨어있을 수 있고, 다른 부위에 대한 암이 생겼는지, 혹은 생명에 위협이 될만한 다른 질환은 없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질병들은 암 치료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암 외에 생명을 위협할 질환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며 "그러므로 암환자들도 암 치료 외에도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건강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일부 암환자들은 병원에서 암검진을 통해 정기적으로 혈액검사와 CT 등의 검사를 하는데, 또 정기건강검진까지 받아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하지만 암 치료 중 이뤄지는 검사로는 우리 몸의 각종 건강지표를 제대로 스크리닝하기 어려운 때가 있다. 

이정아 교수는 "유방암 환자의 경우는 유방검사를 주로 하기 때문에, 유방검사만으로는 위나 장 등에 발생한 암을 미리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위암 환자의 경우는 위를 검사하기 위해 복부의 다른 장기들도 모두 검사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있지만 그 외에 중요한 심뇌혈관질환 등은 검사 대상이 아닐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암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도 관리가 필요한데, 이런 부분은 거의 간과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이 교수는 "암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스트레스로 치료 의지를 잃는 경우 또한 있다"며 "치료만 받으면 잘 지낼 수 있는데, 정신건강의학적인 부분의 치료가 병행되지 않아 문제가 되는 경우 또한 있는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혈액검사나 영상검사를 통해 각종 질병이나 이상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치료에 대한 전략을 조정할 수 있어 더 나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어떤 검사가 어디까지 체크할 수 있는 지 환자 스스로가 판단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담당 의료진과 어떤 건강검진을 받으면 좋을지 긴밀히 상의할 것"을 권했다. 

암 치료 외에 다른 건강 지표를 간과하는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암 외에 다른 건강 지표를 너무 엄격하게 관리해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 교수는 "암 치료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준에서만 관리해도 되지만, 그 이상으로 지나치게 관리해서 스트레스를 받은 결과 오히려 치료에 방해가 되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인 경우가 췌장암 환자의 혈당 관리다.

이정아 교수는 "췌장암 환자들의 경우 췌장암 그 자체 때문에 당뇨가 조절이 안 되는 경우가 있는데, 혈당을 너무 철저히 관리하기 위해 잘 먹지 않는 경우를 간혹 볼 수 있다"며 혈당 관리를 너무 지나치게 하면 오히려 췌장암 환자의 전신건강에 나쁠 수 있다는 점을 짚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