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암병원 중입자치료센터 김경환 교수

중입자치료는 꿈의 암 치료기라고 불리지만, 사실 중입자치료가 모든 암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난치암으로 분류되는 '폐암'에서 마찬가지다. 모든 암치료는 의학적 근거에 기반하기에, 폐암에서 중입자치료를 해볼 수 있는 때도 거의 정해져 있다.

연세암병원 중입자치료센터 김경환 교수는 유튜브 채널 '세브란스'에서 "중입자치료의 폐암에서의 적응증은 대부분 초기 폐암인 5cm 이하의 암"이라며 "림프절 전이나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는 중입자치료를 잘 하지 않게 된다"고 말했다.

사진 제공=세브란스병원
사진 제공=세브란스병원

초기에 폐암이 발견되면 중입자치료로 완치가 가능할까? 김경환 교수는 "보통은 초기 폐암에서 수술적 치료가 많이 시행되는데, 중입자치료를 통해서도 초기 폐암을 충분히 완치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폐암에서 중입자치료 적응증이 초기 암이니, 중입자치료 뒤에는 항암치료를 더 이상 받지 않아도 될까? 이 말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 

김 교수는 "우선은 초기 폐암에서 중입자치료를 한 뒤에는 현재 가이드라인 상에서는 더 이상 항암치료를 받을 필요는 없다"면서도 "하지만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연구들에 따르면 추후 면역항암제 등의 치료가 또 이뤄질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폐암에서 중입자치료는 기존 X선 치료보다 치료 횟수가 많을까? 김경환 교수는 "중입자치료의 가장 큰 장점은 치료 횟수가 짧다는 점"이라며 "기존의 X선 치료보다 비슷하거나 짧은 횟수로 이뤄지게 되고, 적게는 1회, 많게는 4~12회 내외로 이뤄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꿈의 암치료기법인 중입자치료는 가장 비싼 폐암 치료법일까? 김 교수는 "중입자치료는 현재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고, 가격이 비싼 것은 사실이지만 외국에서 시행받는 것에 비하면 거의 절반 정도 가격으로 국내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중입자치료를 하면 폐 주위의 심장, 식도 같은 다른 장기들을 잘 보존할 수 있을까? 김경환 교수는 "중입자선의 특성상 주변 정상 장기에 대한 영향이 적고 특히나 폐암치료에서는 주변에 심장, 폐, 식도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중입자치료를 활용할 경우 이들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폐암은 조기 발견이 어렵고 전이가 흔해 난치암으로 분류되기는 하지만 초기에 발견해 치료하면 완치될 수 있는 암이기도 하다"며 "중입자치료가 폐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이 되면 좋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