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안산병원 혈액종양내과 최정윤 교수

대장암 항암치료는 꾸준히 발전해오고 있고, 그 발전은 현재진행형이다. 그렇다면 지금 현재 대장암 항암치료의 대상은 누구이며, 이때의 대장암 항암치료 성적은 어느 정도로 바뀌었을까?

항암치료는 수술, 방사선치료과 같은 국소치료와 다른 전신 치료법이다. 항암제 종류에 따라 주사제와 경구제로 나누지만 어떤 방법으로 투여하든지 혈액 속에 들어가 전신을 돌면서 작용하기 때문에 수술이나 방사선치료로 접근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런 까닭에 항암치료는 수술 전에 종양의 크기를 줄여서 수술 범위를 줄이기 위해서나 수술 후 재발의 위험이 높은 경우 예후를 좋게 하기 위해 한다. 또한 먼 부위까지 전이가 돼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완치 목표는 아니지만 암과 증상 조절을 통해 생존율 증가,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항암치료를 하게 된다. 

고대안산병원 혈액종양내과 최정윤 교수는 유튜브 채널 '고대병원'에서 현재 대장암에서 항암치료는 수술 전을 비롯해 수술 후 재발 위험이 높은 환자이거나 원격 전이된 환자에게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장암. 이미지 출처=게티이미지
대장암. 이미지 출처=게티이미지

수술 후 재발 위험이 높은 경우에 하는 항암치료는 '보조항암치료'라고 하는데, 대장암 보조항암치료의 최근 성적도 최 교수는 제시했다. 

최정윤 교수는 "수술로 암을 완전히 제거하더라도 눈에 보이지 않게 숨어있는 암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치료인 보조항암치료를 통해 대장암 재발률을 35% 정도, 사망률을 24% 감소시킬 수 있다"고 짚었다.

또한 수술이 불가능한 전이암 환자도 완화적 목적의 항암치료를 하는데, 이 경우에도 대장암 치료 성적이 제시돼 있다.  

최 교수는 "완화적 목적의 항암치료를 통해 수술이 불가능한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생존기간은 약 20~50개월 증가했다"며 "증상 조절에 따른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항암치료를 할 필요가 있다"고 전이성 대장암에서의 항암치료의 가치를 짚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