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연구팀, ‘디스트레스’와 암 재발‧사망률 상관관계 분석

디스트레스는 암과 치료로 인해 환자와 가족들이 겪는 신체정신사회영적 고통을 통칭하는 말이다. 디스트레스는 암 진단에서 우울불안과 함께 매우 흔하게 나타난다. 암 환자의 40% 정도가 심각할 정도의 디스트레스를 경험한다.

국제정신종양학회는 디스트레스를 혈압맥박호흡체온통증에 이어 6번째 신체 활력 징후로 정의하고 있다. 특히 암 환자에서 진단재발완화치료를 시작할 때마다 디스트레스를 측정관리하라고 권고할 정도로 중요하게 다룬다.

이와 관련, 암 진단에서 디스트레스가 높은 환자일수록 병세가 깊어지고 더 치명적이라는 국내 연구진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대장암센터 대장항문외과 김희철‧신정경 교수와 암교육센터 조주희 교수, 임상역학연구센터 강단비 교수 연구팀은 대장암 진단 시 디스트레스와 암 재발 및 사망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에서 2014~2021년 동안 원발성 대장암을 진단받고, 근치적 수술받은 환자 1,362명을 대상으로 진단 시 디스트레스와 재발 및 사망률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미국종합암네트워크(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가 개발한 디스트레스 온도계와 체크 리스트를 이용해 환자들의 자기평가(Patient Reported Outcome, PRO)로 디스트레스 점수를 매겼다.

연구팀은 디스트레스 점수에 따라 4점 미만이면 낮은 그룹’, 4~7높은 그룹’, 8점 이상 매우 높은 그룹으로 나누고, 대장암 무진행생존율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평균 디스트레스 점수는 5.1점이었다. 이는 미국종합암네트워크 주의에 해당하는 점수 4점을 훌쩍 넘긴 것이다. 전체 환자의 61%가 디스트레스 수준이 높음이었고, 15%매우 높음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 10명 가운데 7(4점 이상 76%)은 암 진단받을 때부터 디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암 진단은 사람이 살아가면서 겪을 수 있는 가장 당혹스럽고 힘든 경험가운데 하나라는 사실을 재확인한 것이다. 병 재발이나 사망 건수를 종합하면, 암 진단 시 디스트레스 유해성은 더 분명했다. 1,000인년당 디스트레스 낮은 그룹은 재발사망 50, ‘높은 그룹67.3, ‘매우 높은 그룹81.3건으로 확인됐다.

암 진단 시 디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병 재발이나 사망 위험도 덩달아 커진 것이다. ‘낮은 그룹을 기준 삼아 상대 위험도를 통계적으로 계산하면, ‘높은 그룹28%, ‘매우 높은 그룹84% 더 높았다.

대장암 4기처럼 병세가 깊으면 진단 시 디스트레스에 따른 위험도 증가세는 더 가팔랐다. 병 재발이나 사망 위험이 진단 시 디스트레스가 낮은 그룹보다 높은 그룹26%, ‘매우 높은 그룹에서 153%로 대폭 상승했다.

암에 대한 두려움과 슬픔걱정과 같은 감정적 요소뿐만 아니라 보험육아 등 암 치료 후 뒤따라올 사회경제적 문제들이 환자들의 어깨를 짓누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이들 고통도 가중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삼성서울병원 대장항문외과 김희철 교수는 암 진단 시 정서 문제뿐 아니라 직장자녀 문제 등 여러 실생활 관련 문제들에 사로잡혀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치료에 집중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병 진단과 함께 환자들의 치료 환경이 얼마나 준비됐는지 환자가 느끼는 디스트레스를 평가하고, 이를 치료 전에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조주희 교수는 치료 시작 전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 암환자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했지만 시간공간 여러 환경적인 제한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부분이 많은 것 같다앞으로 디지털기술을 활용해 암 진단 시 디스트레스를 중재하는 프로그램 개발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삼성서울병원 암병원은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인적 암 통합 케어를 목표로 2014년부터 디스트레스 상담실을 운영하고 있다. 암 진단 시 환자의 디스트레스를 평가, 원인에 따른 체계적인 관리로 암 진단부터 암환자들의 어려움을 함께 고민하고 해소하기 위해 노력한다.

연구팀의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수술 분야 국제 권위지인 <미국외과학회지(Annals of Surgery, IF = 13.787)> 최신 호에 실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