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30일 ‘세계 골수종의 날’…10만명당 10.7명에서 발병
척추뿐만 아니라 팔‧다리 전신 골절, 치료 쉽지 않아

매년 330일은 국제골수종재단이 다발골수종에 대한 인지도를 전 세계적으로 높이고, 완치를 기원하기 위해 지정한 세계 골수종의 날’(International Myeloma Day)이다.

다발골수종은 백혈구의 일종인 형질세포가 악성화하면서 과증식한 질환이다. 주로 골수에서 과증식한다. 다발골수종 암세포는 M단백질이라고 불리는 비정상 단백질을 분비해 다양한 증상을 일으킨다.

2020년 국가암정보센터 통계 자료를 보면, 국내 인구 10만 명당 다발골수종 유병률은 10.7명으로 전체 암의 0.6%를 차지하고 있다. 다발골수종은 젊은 나이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40대부터 점차 발병률이 증가한다. 70대에 가장 많은 빈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정상적 뼈 골절통증방치되면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

다발골수종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방사선과 농약살충제벤젠 등 화학물질 노출과 유전적 요소 등이 발병 요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요인과 다발골수종 발병 사이의 인과관계가 뚜렷이 밝혀진 것은 아니다.

대표 증상은 뼈 약화와 이로 인한 골절이다. 여기에 뼈 통증과 빈혈, 신장 기능 이상, 고칼슘혈증감염 증상이 생긴다. 이들 증상이 나타난 단계라면 병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척추에 압박골절이 생겼을 때 외상이 원인이 아니라, 다발골수종 같은 질병이 숨어있는 상태에서 나타난 병적 골절인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런 경우 혈액내과가 아닌 진료과에서 모르고 지나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척추압박골절에 대한 검사와 치료만 하고, 제대로 된 치료가 늦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다발골수종은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되면 여러 증상이 악화한다. 척추뿐만 아니라 팔다리 등 전신에 골절이 생길 수 있다. 척추압박골절로 척추가 주저앉으면서 통증이 유발되고, 심한 경우 신경이 눌리면 마비 증상까지도 나타난다. 신장 기능 장애로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되면 투석을 받아야 하는 등 다발골수종은 다양한 신체 기관에 영향을 미쳐 삶의 질을 저해한다.

다발성골수종은 초기에 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만큼 정기 검진으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비정상적인 골절이 생기거나 뼈 통증이 계속 있으면 혈액내과를 찾아 정확한 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표적치료제면역항암제 조합해 치료자가조혈모세포이식도

다발골수종 치료는 면역항암치료가 기본이다. 기존에는 세포독성항암제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에 비해 최근에는 여러 표적치료제와 면역항암치료제들이 개발돼 사용 중이다. 면역조절관련약제와 프로테아좀 억제제, 항체치료제, 세포독성 항암제, 스테로이드 등이 대표적인 치료제다. 이들 여러 계열의 약제를 조합해 복합적으로 치료한다.

다발골수종은 자가조혈모세포이식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조혈모세포는 뼈 안에 존재하는 골수에서 생성되는 세포다. 백혈구와 적혈구혈소판 등 여러 혈액세포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고용량 항암제 투여로 손상된 골수의 재건을 돕기 위해 자신의 조혈모세포를 사전에 채집해두었다가 이식하는 것이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이다. 환자의 나이와 컨디션 등을 고려해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이 가능한 환자에게 적용한다.

다발골수종 환자들은 질병 자체와 또는 치료 과정에서 합병증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골절 및 뼈 통증을 예방하기 위한 약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통증이 심하면 진통제를 사용해 적극적인 통증 조절이 필요하다.

폐렴과 같은 감염이 생기면 위험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어 예방적인 항생제도 사용한다. 신기능 장애도 빈번하게 생기는 만큼 약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여기에 피부발진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과 혈전증말초신경염심부전 등 부작용이 빈번하게 생길 수 있어 세심한 치료가 필요하다.

최신 치료법 개발 활발올해 3CAR-T 세포치료제 국내 허가

다발골수종은 복잡한 발생기전을 가지는 질환이다. 한가지 원인을 타겟으로 하는 표적치료제를 사용한다고 해서 근본적으로 질병을 완치시키기는 어렵다. , 종양이 진행하면서 다양한 돌연변이가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약물에 대한 저항성이 생겨 처음 효과가 좋았던 약제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효과가 떨어지고, 재발이 빈번해 지속적인 추적과 관찰은 필수다.

고대구로병원 혈액종양내과 김대식 교수는 다발골수종은 치료가 쉽지 않은 병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어떤 암보다도 새로운 치료법들이 빠른 속도로 개발되고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면서 치료 성적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다“2021CAR-T 세포치료제인 킴리아가 국내에 허가돼 악성림프종과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이 되고 있고, 최근 다발골수종 CAR-T 세포치료제인 카빅티가 국내 허가로 재발불응성 다발골수종 환자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