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헴리브라 혈전 이상사례 8인자제제 比 2.83배”
JW중외제약 “중대 이상반응 등 오히려 8인자제제가 많아”

GC녹십자가 JW중외제약 혈우병 치료제 ‘헴리브라(성분명 에미시주맙)’ 안전성을 문제 삼으며 저격하자, JW중외제약이 반박에 나서며 A형 혈우병 치료제시장을 놓고 경쟁이 치열한 모습이다.

지난 21일 GC녹십자는 ‘헴리브라 혈전 이상사례 보고율 8인자제제보다 2.8배 높았다’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해당 자료는 미국 식품의약국(FDA) 의약품 이상사례보고시스템(FAERS)에 보고된 헴리브라와 기존 혈우병 치료제(혈액응고인자 Ⅷ, 이하 8인자 제제) 혈전 이상사례 분석 연구다. 연구는 미국출혈장애학회(BDC)에서 포스터 발표됐다.

GC녹십자는 지난 5년간(2018년~2022년) FAERS 데이타베이스를 분석한 결과 헴리브라 투여 후 발생한 이상 사례 총 2,383건 중 혈전 이상사례가 97건으로 전체 이상사례의 4.07%를 차지한 반면, 8인자제제의 전체 이상사례 중 혈전 이상사례 비율은 1.44%에 그쳤다고 전했다. 

GC녹십자는 “헴리브라와 8인자제제 투여군의 혈전 이상사례를 비교했을 때 헴리브라의 혈전 이상사례 보고율이 8인자제제보다 2.83배 높게 나왔다”고 했다. GC녹십자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헴리브라의 높은 혈전 이상사례 보고율이 이전부터 제기돼 왔다고 지적했다. GC녹십자는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3월 유럽에서도 이와 비슷한 연구결과가 출판됐다고 언급했다.

유럽의약품안전관리시스템 데이타베이스(EudraVigilance database)를 이용한 연구에서 헴리브라 투여 후 발생한 혈전 이상사례 보고율이 장기지속형(EHL) 8인자제제보다 약 2.77배 높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GC녹십자와 JW중외제약은 국내에서 혈우병 치료제를 판매하는 대표적인 국내 제약사다. GC녹십자는 자사의 8인자제제 ‘그린모노’, ‘그린진에프’ 외에도 다케다제약의 ‘애드베이트’, ‘애디노베이트’ 등을 판매하며 국내 A형 혈우병 치료제 시장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해왔다.

JW중외제약은 2020년 국내 최초 비응고인자제제 헴리브라를 선보이며 빠르게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헴리브라는 지난 5월부터는 비항체 중증 A형 혈우병 환자에게도 급여 적용이 가능해졌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돌연 GC녹십자가 유력한 경쟁 제품이라고 할 수 있는 헴리브라의 안전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나선 것이다. 사실상 견제가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이번 보도자료 배포 이후 GC녹십자는 단순한 혈전 발생 사례 연구였으며, 특정 회사 제품 안전성 여부를 판가름하려던 게 아니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타사 제품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보도자료를 배포했다는 점에서 사실상 경쟁 제품의 성장에 제동을 걸기 위한 행보가 아니냐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또 일각에서는 GC녹십자가 해당 연구 결과 중 유리한 내용만을 선택적으로 발췌해 대외에 공개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GC녹십자 최봉규 데이터사이언스팀장, 성균관대 약대 신주영 교수, 한국혈우재단 부설의원 유기영 원장 등이 참여한 연구 결과 발표 포스터를 살펴보면, 헴리브라 전체 이상사례 2,383건 중 혈전 이상사례는 97건(4.07%), 8인자제제 전체 이상사례 9,324건 중 혈전 이상 사례는 134건(1.44%)이었다. 반면, 중대한 이상사례(Serious AEs)는 헴리브라 1,545건(64.83%), 8인자제제 7,675건(82.31%)으로 8인자제제의 비율이 더 높았다.

JW중외 "이상사례 발생, 헴리브라 보다 8인자제제가 많아" 반격

저격을 당한 JW중외제약도 가만히 있지는 않았다. JW중외제약은 22일 반박자료를 배포하고, GC녹십자의 보도자료를 문제 삼았다.

JW중외제약은 먼저 GC녹십자가 발표한 데이터의 출처인 FDA 의약품 이상사례보고시스템은 자발적 이상사례 보고 시스템으로 전체 약제의 이상사례가 모두 수집된 건 아니라고 지적하며, 이상사례의 중복과 보고가 누락된 이상사례 등은 확인할 수 없는 자료라고 일축했다.

또 제품 간 이상반응 발생률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각 제품의 총 투여환자 수 대비 이상사례의 발생 수’가 필요하지만, 녹십자의 발표내용에는 총 투여환자 수 없이 FDA에 보고된 이상사례만 있다는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즉, 헴리브라가 8인자제제 대비 혈전 이상사례 보고율이 약 3배라는 결론은 비약적 해석이라는 것이다.

오히려 현재 미국시장 점유율이 비슷한 상황(헴리브라 51% vs. 8인자제제 49%, IQVIA 22년 4분기 기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상사례 발생건수는 헴리브라 보다 8인자제제가 많았다고 반격하기도 했다.

JW중외제약은 “녹십자는 헴리브라의 혈전 이상사례 97건을 전체 투약수가 아닌 이상사례 2383건 중 4.07%, 8인자 제제의 경우 전체 이상사례 수를 표기하지 않고 1.44%에 그쳤다고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며 “해당 포스터에 따르면, 헴리브라와 8인자제제의 전체 이상사례 수는 각각 2,383건, 9,324건으로 8인자 제제의 이상사례가 3배 이상 많다. 혈전 이상반응 사례 역시 헴리브라 97건, 8인자제제 134건으로 8인자제제의 이상사례 보고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특히 같은 데이터에서 조사된 중대한 이상반응(SAE)은 헴리브라 2,383건 중 1,545건(64.8%), 8인자제제 9,324건 중 7,675건(82.3%)로 8인자제제의 숫자와 비율 모두 8인자제제에서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JW중외제약은 또 GC녹십자의 행보에 불편한 기색도 감추지 않았다.

JW중외제약은 “(GC녹십자는) 각 제품의 출시 시점, 작용기전, 보고 기준 등 다른 점을 고려하지 않고 경쟁사 약을 직접 언급하고 공식적으로 폄하했다”며 “환자들에게 불필요한 혼란을 주는 이같은 행위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고 밝혔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