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R/ABL 융합 유전자 통해 타이로신 키나제 효소 발현
글리벡·아이클루시그 등 타이로신키나제억제제로 치료
급성림프모구백혈병, 만성골수성백혈병 같은 일부 혈액암에서 확인되는 필라델피아 염색체(Philadelphia chromosome, Ph)는 혈액암의 불량한 예후를 의미한다. 대체 이 염색체가 무엇이기에 불량한 예후가 초래되는 것일까?
우선 이 염색체의 실체부터 알아보자. 부산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신호진 교수는 유튜브 채널 '나는 의사다'에서 "사람은 전체 46개의 염색체를 갖고 있는데, 그 중 9번 염색체외 22번 염색체의 장완(긴 쪽)이 끊겨서 서로 뒤바뀌어 9번 염색체의 장완이 끊긴 게 22번 염색체에 붙고, 22번 염색체의 장완이 끊긴 게 9번 염색체에 갖다 붙는다. 22번 염색체가 (9번 염색체보다) 조금 더 많이 끊기다보니 이 2개 염색체가 전좌가 이뤄지면서 22번 염색체가 짧아진다. 그 짧아진 22번 염색체가 '필라델피아 염색체"라고 말했다.
짧아진 22번 염색체인 '필라델피아 염색체'에는 이상한 융합 유전자가 존재하게 되는데, 바로 9번 염색체와 22번 염색체의 전좌 과정에서 생긴 'BCR/ABL 융합 유전자'가 그것이다.
신호진 교수는 "9번 염색체의 장완에는 ABL 유전자라는 게 있고, 22번 염색체의 장완에는 BCR 유전자가 있는데, 이 2개의 염색체가 전좌가 되는 과정에서 'BCR/ABL 융합 유전자'가 생긴다"며 "BCR/ABL 융합 유전자 생겨서 발생하는 게 만성골수성백혈병"이라고 설명했다.
필라델피아 염색체에 있는 BCR/ABL 융합 유전자는 급성림프모구백혈병 같은 혈액암을 악화시키는 효소를 발현시킨다. 바로 '타이로신 키나제'가 그것이다.
신 교수는 "BCR/ABL 융합 유전자가 있으면 결국 타이로신 키나제라는 효소가 발현되면서 백혈병 세포를 증식시켜서 병이 빨리 진행되도록 촉진을 시키는 효과가 있다"며 "필라델피아 염색체가 나온다는 것 자체가 이것이 없는 환자에 비해 치료도 잘 안 될뿐더러 치료가 되더라도 금방 재발을 하고 병의 진행 속도도 빠르다 보니 생존율이 떨어져서 불량 예후인자로 알려져 있다"고 짚었다.
다행히 타이로신 키나제를 억제하는 약제가 있는데, 그 최초의 약제가 한때 기적의 치료제로 불린 '글리벡(성분명 이마티닙)'이다. 현재 타이로신 키나제 억제제(Tyrosine kinase Inhibitor, TKI)는 1세대 TKI 글리벡, 2세대 TKI 스프라이셀(성분명 다사티닙)·타시그나(성분명 닐로티닙), 3세대 TKI 아이클루시그(성분명 포나티닙)까지 나와있다. 그러나 치료 무기가 있어도 필라델피아 염색체가 있을 때는 여전히 치료가 힘겹다.
신호진 교수는 "타이로신 키나제 효소 활성 억제제를 사용하면 필라델피아 양성 백혈병을 치료할 수 있다"면서도 "한 약제를 계속 쓰다보면 그 약제에 노출된 암세포들이 자꾸 유전자 변이를 만든다. 그 약제에 잘 안 듣도록 만드는 것. 그래서 1세대 TKI를 써서 잘 안 들었을 때는 반드시 유전자 변이 검사를 해서 어떤 특정한 유전자 변이가 있는지를 보고 거기에 맞춰 2세대 TKI를 선택하도록 돼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암 검사법 '조직검사' vs '액체생검', 더 정확한 건 뭘까?
- 암 진단 뒤 '유전자검사' 꼭 필요한 암 환자 vs 필요 없는 암 환자
- 태어난 뒤 쭉 써왔던 아이 화장품, '이땐' 피부 건강 위해 바꾸는 게 좋다!
- 심혈관질환자, 시알리스 금기?…발기부전치료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 맥주 주원료 중 하나인 '홉'에 불면증 치료 효과가 있다?
- 권태기에 접어든 부부에게 도움되는 마법 같은 세글자, 뭘까?
- 임신 초기 '출혈', 3명 중 1명 꼴로 겪을 만큼 흔한 이유
- 뜨거운 태양에 벌겋게 달궈진 피부, 아줄렌 성분 수딩크림으로 5℃ 쿨링
- 검은점 빼려고 피부과에 간 50대, '피부암' 날벼락…국내 피부암 환자↑
- 젊은 여성에 느는 '자궁내막증식증', 폐경 뒤 5년 지나야 완치?
- '빨개진 피부'만 보고 어떻게 피부과 의사가 피부질환명 내놓나 했더니…
- 쌍둥이분만, 자연분만 가능해도 국내선 제왕절개 많이 하는 이유
- 아이 몸에 0.5cm 이상 '커피색 반점' 5개 넘을 때 의심해볼 질환 있다!
- 다래끼 잦은 게 눈화장 탓?…하루 2번 '이것'으로 예방 가능!
- 피부의 검은줄, 피부암?…동남아여행 뒤라면 '식물성 광피부염' 의심을
- 채찍 맞은 듯한 '피부 트러블', 항암치료 부작용?…버섯알레르기였다!
- 대장 '폴립'처럼 자궁내막에 생기는 가장 흔한 질환도 '폴립'이라고!…왜?
- 민감성+건성 피부, 시카 성분 도움…농도 올려 치료 개념 접근은 안돼
- 자궁근종 있는데 임신했다!…이때 임신 5~6개월쯤 심한 통증 오는 이유
- 콧물 흘리는 아이, 중이염 막으려면 초장에 콧물약 세게 써야 한다?
- 예후 나쁜 '필라델피아 양성 백혈병', 급성·만성일 때 1차 약제 다르다?
- 얼굴에 발병한 ‘두경부암’ 방사선 치료 후 충치‧잇몸질환 부작용
- 예후 나쁜 급성림프모구백혈병, 항암제·이식 없이 완치하는 시대 오나
- 화장실 가느라 밤에 자주 깬다?…야간뇨 원인 별 해법 총정리
- 수지·아이유 눈동자 속 검은 점, 악성암 진화 위험 얼마나 될까
- 체하면 머리가 아프다? 그게 편두통!…'편두통'에 대한 오해와 진실
- 화 "참을수록 좋다"vs"참으면 병 된다"…정신건강의학과 교수 현실 조언
- 심한 편두통 시달리는 사람 인생 바꿔줄 '편두통약'에 이젠 예방약까지!
- 전립선암=착한 암?…"우리나라 현실에선 절대로 '착한 암' 아니다"
- 변혁에 가까운 혈우병 치료史…무엇이 그것을 가능하게 했나
- 산후 탈모, 저절로 회복되지만…노산일 땐 '산후 탈모' 적극 치료·관리를
- 대학생 아들·딸 성적관리하는 부모, 결국 '바보 의사·판사' 만들수도
- 색 변하거나 커지는 '손발바닥의 점', 조직검사 꼭 해야 하는 이유
- 암 치료 중 못 먹겠어서 짜증난다?…이땐 '암환자용 영양식' 이용도 방법!
- 전립선암 2기인데, 수술 안 하고 검사만?…전립선암의 남다른 치료원칙!
- '펫로스 증후군', 과하다?…반려동물 상실, 충분히 우울증 부를 수 있어
- 미백치약 쓸수록 이 노랗게 된다?…'치아미백'의 오해와 진실
- 활동 제약 많았던 혈우병…이젠 건강한 노년 위해 유산소·근력운동 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