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이상 시 유전성희귀질환 '신경섬유종증' 가능성 有
내 아이의 작은 몸에 0.5cm 이상 크기의 큰 반점이 있으면 혹시 피부암 같은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부모들이 흔히 걱정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반점은 건강이상을 의미하지 않는다.
세종충남대병원 피부과 김현정 교수는 유튜브 채널 '나는 의사다'에서 "아이에게 밀크커피색 반점은 흔하다. 100명 중에 2~3명은 5mm 정도 되는 크기의 커피색 반점을 다 갖고 태어난다"며 "아이들이 사춘기까지 가면 약 3분의 1은 커피색 반점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커피색 반점은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하고, 남아 있어도 건강에 큰 문제가 없지만 외관상의 문제가 될 때는 레이저로 없앨 수도 있다.
김현정 교수는 "커피색 반점은 자연적으로 소실되는 경우가 꽤 많다"며 "점점 크면서 많이 없어지고 그래도 남으면 레이저로 없애면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이 몸에 난 밀크커피색 반점을 특이하게 봐야 할 때가 있다. 밀크커피색 반점이 NF1이라는 유전자의 이상으로 초래되는 희귀질환 '신경섬유종증'을 의미할 때가 있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사춘기 전에 5mm 이상인 밀크커피색 반점이 6개 이상인 아이, 사춘기 이후에는 15mm 이상인 밀크커피색 반점이 6개 이상이 온몸에 있는 아이"일 때 신경섬유종증일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사춘기 전에 온몸에 5mm 이상인 밀크커피색 반점이 6개 이상인 아이, 사춘기 이후에 온몸에 15mm 이상인 밀크커피색 반점이 6개 이상인 아이는 의료진이 전신을 만져봐서 양성 혹처럼 뭉쳐져 있는 게 있으면 유전자진단을 권한다.
김현정 교수는 "신경섬유가 양성 혹처럼 뭉쳐있는 신경섬유종이 생기지 않았나 만져보고, 이게 점점 맞아떨어지면 신경섬유종에 대한 유전자 진단을 한다"며 신경섬유종증의 대표적인 피부 발현이 밀크커피색 반점으로 나타날 수 있어 정말 누가 봐도 여러 개의 밀크커피색 반점이 있다면 신경섬유종증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 다래끼 잦은 게 눈화장 탓?…하루 2번 '이것'으로 예방 가능!
- 피부의 검은줄, 피부암?…동남아여행 뒤라면 '식물성 광피부염' 의심을
- 채찍 맞은 듯한 '피부 트러블', 항암치료 부작용?…버섯알레르기였다!
- 대장 '폴립'처럼 자궁내막에 생기는 가장 흔한 질환도 '폴립'이라고!…왜?
- 민감성+건성 피부, 시카 성분 도움…농도 올려 치료 개념 접근은 안돼
- 자궁근종 있는데 임신했다!…이때 임신 5~6개월쯤 심한 통증 오는 이유
- 콧물 흘리는 아이, 중이염 막으려면 초장에 콧물약 세게 써야 한다?
- 내 두통·안구통 진짜 원인…등세모근육 '승모근' 통증의 연관통이었다!
- 괄사 얼굴마사지, 피부과 의사가 추천하지 않는 진짜 이유
- 임신 중 성관계, 유산 위험 증가?…임신·출산과 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영유아건강검진, 별 도움 안된다? NO!…내 아이 육아길라잡이로 활용을
- 치료 위해 먹은 약이 내 몸을 해친다!…왜?
- 처방 연고 잘 안 발랐더니 여드름 악화!…이때 의사에게 꼭 말해야 할 것
- 피부 속당김 더해 피부장벽 와장창 깨졌다?…이땐 마스크팩 자제해야
- 유전자 변이로 심장근육 뚱뚱해진다?…'비대성 심근병증'의 모든 것
- 찰스 3세 국왕에게 '전립선암' 있다, 없다로 논쟁 벌어진 진짜 이유
- 산부인과 의사인데 분만 꺼린다…왜?
- 50·60 울퉁불퉁 올라오는 얼굴의 노란 점?…'피지샘증식증' 가능성 높다
- 갓 태어난 신생아의 울음소리로 아이의 건강 상태 알 수 있다?
- 폐경기 증상, 호르몬제로 조절되지만…암에 더해 혈전 위험에 노출?
- 세계 유전성 혈관부종의 날 기념 #active4HAE 캠페인 진행
- 쌍둥이분만, 자연분만 가능해도 국내선 제왕절개 많이 하는 이유
- '빨개진 피부'만 보고 어떻게 피부과 의사가 피부질환명 내놓나 했더니…
- 젊은 여성에 느는 '자궁내막증식증', 폐경 뒤 5년 지나야 완치?
- 검은점 빼려고 피부과에 간 50대, '피부암' 날벼락…국내 피부암 환자↑
- 뜨거운 태양에 벌겋게 달궈진 피부, 아줄렌 성분 수딩크림으로 5℃ 쿨링
- 임신 초기 '출혈', 3명 중 1명 꼴로 겪을 만큼 흔한 이유
- 권태기에 접어든 부부에게 도움되는 마법 같은 세글자, 뭘까?
- 맥주 주원료 중 하나인 '홉'에 불면증 치료 효과가 있다?
- 심혈관질환자, 시알리스 금기?…발기부전치료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 태어난 뒤 쭉 써왔던 아이 화장품, '이땐' 피부 건강 위해 바꾸는 게 좋다!
- 암 진단 뒤 '유전자검사' 꼭 필요한 암 환자 vs 필요 없는 암 환자
- 암 검사법 '조직검사' vs '액체생검', 더 정확한 건 뭘까?
- 백혈병에서 '필라델피아 염색체'의 의미, "예후 불량"…왜?
- 예후 나쁜 '필라델피아 양성 백혈병', 급성·만성일 때 1차 약제 다르다?
- 화장실 가느라 밤에 자주 깬다?…야간뇨 원인 별 해법 총정리
- 수지·아이유 눈동자 속 검은 점, 악성암 진화 위험 얼마나 될까
- 체하면 머리가 아프다? 그게 편두통!…'편두통'에 대한 오해와 진실
- 화 "참을수록 좋다"vs"참으면 병 된다"…정신건강의학과 교수 현실 조언
- 전립선암=착한 암?…"우리나라 현실에선 절대로 '착한 암'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