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남궁기 교수가 추천하는 세글자 '그러네'의 효과
밥 먹는 모습도 꼴보기 싫을만큼 부부나 오랜 연인 사이가 악화됐을 때 흔히 권태기가 왔다고 한다. 사랑이라는 깊은 감정을 나누던 부부나 오랜 연인 사이에 왜 권태기가 오는 것일까.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남궁기 교수는 유튜브 채널 '나는 의사다'에서 "기대치가 높아서 그렇다. 행복은 기대 분의 현실"이라며 "기대치가 높으면 합이 커질 수가 없다. 기대를 자꾸 줄이는 연습을 조금 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권태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조언했다.
밥 먹는 것이 얄미운 단계는 상대에 대해 아무 감정이 없는 것보다 차라리 나은 단계이기도 하다.
남궁기 교수는 "미움과 화가 있다는 것은 기대치가 있다는 뜻"이라며 "그 사람이 기대치를 못하니까 내가 거기에 대해 화가 나고 분노가 나는 것이니 기대치를 좀 낮추면 된다"고 말했다.
특히 권태기에 접어들었을 때, 권태기를 극복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상대와의 대화 스킬에 크게 달려있다.
남 교수는 "(권태기에 접어든 부부 사이에서는) 내가 무슨 말을 하면 상대방이 반대되는 의견을 얘기하는 경우들이 많다"며 "연차가 20~30년 되는 부부 사이에는 역할이 정해져 있는데, 남자가 점점 여성화되고 여성이 점점 남성화가 되다보면 한 사람이 무슨 얘기를 하면 다른 사람이 그것에 반대되는 얘기들을 많이 한다. 이럴 때 (공감을 뜻하는) '그러네'라고 얘기를 해주면 감동한다"고 조언했다.
남궁기 교수는 "권태기에 접어들고 말이 굉장히 중요하다. 권태기를 극복하고 서로 사이 좋게 지내는 방법 중의 하나가 상대방이 처음에 뭐라고 하면 '그러네'라고 세 자를 쓰는 것"이라며 "그것으로 많은 게 해결된다. 그래서 내가 요즘 '그러네' 전도사가 됐다"고 유쾌하게 전했다.
관련기사
- 임신 초기 '출혈', 3명 중 1명 꼴로 겪을 만큼 흔한 이유
- 뜨거운 태양에 벌겋게 달궈진 피부, 아줄렌 성분 수딩크림으로 5℃ 쿨링
- 검은점 빼려고 피부과에 간 50대, '피부암' 날벼락…국내 피부암 환자↑
- 젊은 여성에 느는 '자궁내막증식증', 폐경 뒤 5년 지나야 완치?
- '빨개진 피부'만 보고 어떻게 피부과 의사가 피부질환명 내놓나 했더니…
- 쌍둥이분만, 자연분만 가능해도 국내선 제왕절개 많이 하는 이유
- 아이 몸에 0.5cm 이상 '커피색 반점' 5개 넘을 때 의심해볼 질환 있다!
- 다래끼 잦은 게 눈화장 탓?…하루 2번 '이것'으로 예방 가능!
- 피부의 검은줄, 피부암?…동남아여행 뒤라면 '식물성 광피부염' 의심을
- 채찍 맞은 듯한 '피부 트러블', 항암치료 부작용?…버섯알레르기였다!
- 대장 '폴립'처럼 자궁내막에 생기는 가장 흔한 질환도 '폴립'이라고!…왜?
- 민감성+건성 피부, 시카 성분 도움…농도 올려 치료 개념 접근은 안돼
- 자궁근종 있는데 임신했다!…이때 임신 5~6개월쯤 심한 통증 오는 이유
- 콧물 흘리는 아이, 중이염 막으려면 초장에 콧물약 세게 써야 한다?
- 내 두통·안구통 진짜 원인…등세모근육 '승모근' 통증의 연관통이었다!
- 괄사 얼굴마사지, 피부과 의사가 추천하지 않는 진짜 이유
- 임신 중 성관계, 유산 위험 증가?…임신·출산과 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영유아건강검진, 별 도움 안된다? NO!…내 아이 육아길라잡이로 활용을
- 치료 위해 먹은 약이 내 몸을 해친다!…왜?
- 처방 연고 잘 안 발랐더니 여드름 악화!…이때 의사에게 꼭 말해야 할 것
- 갑상선암, ‘여성에 많은 암’ 아니다…남성 암환자 최근 5년 23% 급증
- ‘ADHD’, 집중 못하는 것이 아니라 사안별 집중력 조절에 어려움 겪는 것
- 선천성 유전질환 ‘AMED 증후군’ 국내 첫 진단… 맞춤치료 길 열려
- 맥주 주원료 중 하나인 '홉'에 불면증 치료 효과가 있다?
- 심혈관질환자, 시알리스 금기?…발기부전치료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 태어난 뒤 쭉 써왔던 아이 화장품, '이땐' 피부 건강 위해 바꾸는 게 좋다!
- 암 진단 뒤 '유전자검사' 꼭 필요한 암 환자 vs 필요 없는 암 환자
- 암 검사법 '조직검사' vs '액체생검', 더 정확한 건 뭘까?
- 백혈병에서 '필라델피아 염색체'의 의미, "예후 불량"…왜?
- 예후 나쁜 '필라델피아 양성 백혈병', 급성·만성일 때 1차 약제 다르다?
- 화장실 가느라 밤에 자주 깬다?…야간뇨 원인 별 해법 총정리
- 수지·아이유 눈동자 속 검은 점, 악성암 진화 위험 얼마나 될까
- 체하면 머리가 아프다? 그게 편두통!…'편두통'에 대한 오해와 진실
- 화 "참을수록 좋다"vs"참으면 병 된다"…정신건강의학과 교수 현실 조언
- 심한 편두통 시달리는 사람 인생 바꿔줄 '편두통약'에 이젠 예방약까지!
- 전립선암=착한 암?…"우리나라 현실에선 절대로 '착한 암' 아니다"
- 변혁에 가까운 혈우병 치료史…무엇이 그것을 가능하게 했나
- 산후 탈모, 저절로 회복되지만…노산일 땐 '산후 탈모' 적극 치료·관리를
- 대학생 아들·딸 성적관리하는 부모, 결국 '바보 의사·판사' 만들수도
- 색 변하거나 커지는 '손발바닥의 점', 조직검사 꼭 해야 하는 이유
- 파워J '계획형 인간'인줄 알았는데…내가 불안장애·강박장애 환자일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