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충남대병원 피부과 김현정 교수
피부과질환은 대부분 병변이 빨개져서 오는데, 이때 피부과 의사가 질환을 구분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4개의 카테고리로 크게 나눠 어디에 속하는 질환군인지 먼저 찾는 것이 그것이다.
세종충남대병원 피부과 김현정 교수는 유튜브 채널 '나는 의사다'에서 피부과 의사는 습진성질환이냐, 독성질환이냐, 건선 같은 구진인성설질환이냐, 혈관염 4개를 머릿속에 집어넣고 이를 변별하는 것부터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먼저 피부의 붉은 곳이 하나하나 오돌토돌하게 되는 경우는 대부분 습진성질환일 때가 많다. 또 빨간데 진물이 난다면 습진성질환에 속한다.
피부가 붉은데 울퉁불퉁하게 마치 모기에 물렸을 때처럼 보이는 것이라면 독성질환일 가능성이 있다. 김현정 교수는 "한 곳이 독보적으로 빨갛다면 벌레에 물린 것"이라고 짚었다.
또 빨간데 각질이 위에 많이 올라가 있다면 건선성질환일 가능성이 높다. 혈관염은 빨개진 피부에 압력을 줘서 변별하는 방법을 쓴다.
김 교수는 "두드러기 같은 것들은 누르면 없어지는데, 혈관염 같은 경우에는 피부가 빨간 게 누르면 안 없어진다. 피부과에서는 투명한 자로 빨개진 피부를 눌러보는데, 혈관이 주변에 염증이 생긴 것이기 때문에 아무리 눌러도 빨간색이 사라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외에 감염성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김현정 교수는 "빨간데 도가 지나쳐 뭉치는 경우가 있다. 말랑말랑 혹처럼 된다. 그것을 보통 결절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농양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염증이 너무 심한 것"이라며 "그것을 짜면 노랗게 농이 나오는 감염성질환에 들어간다"고 설명했다.
빨간 피부 중에 진짜 주의해야 하는 감염성질환이 있다. 김 교수는 "빨간데 가장자리에만 각질이 있으면 감염성질환 중 대표적인 무좀"이라며 "보통 남자는 사타구니 무좀이 많이 생기는데, 습진 연고를 열심히 바르면 더 빨개지면서 더 퍼져나가며 자세히 봤을 때 그 경계선에 하얗게 각질이 있다"고 말했다.
피부가 빨개지는 질환 중 아주 심각한 질환도 있다. 바로 급성피부점막질환인 스티븐존슨증후군이 그것이다. 김현정 교수는 "온몸이 빨간데, 밀리기 시작하는 경우"라며 "약물 발진의 끝판왕 '스티븐스존슨증후군'인데 독성괴사성의 피부가 녹아내리는 질환"이라고 짚었다.
관련기사
- 쌍둥이분만, 자연분만 가능해도 국내선 제왕절개 많이 하는 이유
- 아이 몸에 0.5cm 이상 '커피색 반점' 5개 넘을 때 의심해볼 질환 있다!
- 다래끼 잦은 게 눈화장 탓?…하루 2번 '이것'으로 예방 가능!
- 피부의 검은줄, 피부암?…동남아여행 뒤라면 '식물성 광피부염' 의심을
- 채찍 맞은 듯한 '피부 트러블', 항암치료 부작용?…버섯알레르기였다!
- 대장 '폴립'처럼 자궁내막에 생기는 가장 흔한 질환도 '폴립'이라고!…왜?
- 민감성+건성 피부, 시카 성분 도움…농도 올려 치료 개념 접근은 안돼
- 자궁근종 있는데 임신했다!…이때 임신 5~6개월쯤 심한 통증 오는 이유
- 콧물 흘리는 아이, 중이염 막으려면 초장에 콧물약 세게 써야 한다?
- 내 두통·안구통 진짜 원인…등세모근육 '승모근' 통증의 연관통이었다!
- 괄사 얼굴마사지, 피부과 의사가 추천하지 않는 진짜 이유
- 임신 중 성관계, 유산 위험 증가?…임신·출산과 성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영유아건강검진, 별 도움 안된다? NO!…내 아이 육아길라잡이로 활용을
- 치료 위해 먹은 약이 내 몸을 해친다!…왜?
- 처방 연고 잘 안 발랐더니 여드름 악화!…이때 의사에게 꼭 말해야 할 것
- 피부 속당김 더해 피부장벽 와장창 깨졌다?…이땐 마스크팩 자제해야
- 유전자 변이로 심장근육 뚱뚱해진다?…'비대성 심근병증'의 모든 것
- 찰스 3세 국왕에게 '전립선암' 있다, 없다로 논쟁 벌어진 진짜 이유
- 산부인과 의사인데 분만 꺼린다…왜?
- 50·60 울퉁불퉁 올라오는 얼굴의 노란 점?…'피지샘증식증' 가능성 높다
- [박종훈의 골육(骨肉)종 이야기] 죽은 사람 뼈를 내 몸에 넣었다고요?
- 소아암 환자들을 위해 달린 한국쿄와기린 임직원들
- 못된 시어머니가 봄볕에 딸보다 며느리를 내보낸 이유
- 생후 14일 신생아가 황달 or 흰색변을 본다? '담즙정체성간질환' 의심을
- 젊은 여성에 느는 '자궁내막증식증', 폐경 뒤 5년 지나야 완치?
- 검은점 빼려고 피부과에 간 50대, '피부암' 날벼락…국내 피부암 환자↑
- 뜨거운 태양에 벌겋게 달궈진 피부, 아줄렌 성분 수딩크림으로 5℃ 쿨링
- 임신 초기 '출혈', 3명 중 1명 꼴로 겪을 만큼 흔한 이유
- 권태기에 접어든 부부에게 도움되는 마법 같은 세글자, 뭘까?
- 맥주 주원료 중 하나인 '홉'에 불면증 치료 효과가 있다?
- 심혈관질환자, 시알리스 금기?…발기부전치료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 태어난 뒤 쭉 써왔던 아이 화장품, '이땐' 피부 건강 위해 바꾸는 게 좋다!
- 암 진단 뒤 '유전자검사' 꼭 필요한 암 환자 vs 필요 없는 암 환자
- 암 검사법 '조직검사' vs '액체생검', 더 정확한 건 뭘까?
- 백혈병에서 '필라델피아 염색체'의 의미, "예후 불량"…왜?
- 예후 나쁜 '필라델피아 양성 백혈병', 급성·만성일 때 1차 약제 다르다?
- 화장실 가느라 밤에 자주 깬다?…야간뇨 원인 별 해법 총정리
- 수지·아이유 눈동자 속 검은 점, 악성암 진화 위험 얼마나 될까
- 체하면 머리가 아프다? 그게 편두통!…'편두통'에 대한 오해와 진실
- 화 "참을수록 좋다"vs"참으면 병 된다"…정신건강의학과 교수 현실 조언
- 심한 편두통 시달리는 사람 인생 바꿔줄 '편두통약'에 이젠 예방약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