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박성찬 교수에게 듣는 '전립선암'
다른 부위에 전이가 없는 전립선암일 때는 환자에게 3가지 치료옵션이 존재한다. 능동적 감시라고도 불리는 '정기적인 추적관찰'과 수술, 방사선치료가 그것이다. 그렇다면 3가지 치료옵션 중 어떤 결정을 할지 가르는 요인은 무엇일까?
울산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박성찬 교수는 유튜브 채널 '울산대학교병원tv'에서 "빨리 발견됐을 때 관찰하거나, 수술 또는 방사선치료를 하는데, 어떤 치료를 선택할지는 전립선암 환자의 위험도에 따라 결정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전립선암 환자의 위험도는 2가지를 종합해 결정된다. 박성찬 교수는 "영상검사결과에 따라 저위험, 중간위험, 고위험 군으로 나눠진다. 또 환자의 기대 여명도 고려한다"고 짚었다.
이어 박 교수는 "예를 들어 환자의 기대여명이 10년 이하라면 방사선치료나 관찰을 고려할 수 있고, 반대로 건강상태가 좋고 더 오래 살 가능성이 높은 경우, 수술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며 "결국 환자의 건강 상태와 기대수명, 병기 상태 같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결정은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이뤄지는 게 좋다"고 권했다.
전이 없는 전립선암의 치료옵션 중 수술과 방사선치료에는 장단점이 존재한다. 박성찬 교수는 "전립선암 수술은 암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라며 "수술 후 PSA(전립선 특이항원 혈액검사) 수치를 통해 재발 여부를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데, 수술 후 재발이 발생하더라도 방사선치료나 호르몬치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더 있다"고 짚었다.
전립선암 수술의 단점도 있다. 박 교수는 "단점으로는 수술 후 요실금이나 발기력 감소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회복 기간이 필요하고 고령 환자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수술 시 마취 자체가 부담이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고 말했다.
방사선치료는 몸에 큰 상처를 남기지 않아 치료 뒤 회복기간이 짧으므로 치료 후 바로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단점도 적지 않다.
박성찬 교수는 "하루에 30분씩 주말을 제외하고 매일 방문해 32번의 치료(약 6주 소요)를 해야 한다. 또 PSA 수치가 완전히 0으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재발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방사선치료 후 재발 시 추가로 다른 치료방법으로 수술 등을 진행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수술이 안 되거나 수술 난이도가 높아짐)이 있다"고 설명했다.
수술과 방사선치료에 이같은 장단점이 존재하는 까닭에 전이가 없고 치료를 해야 하는 '전립선암'일 때 로봇수술이 선호된다.
박 교수는 "전립선은 치골 뒤쪽에 작고 깊숙이 위치해 있어서 수술 시 접근이 어렵고 수술시야 확보에도 한계가 있다. 개복수술할 때는 고개를 숙이고 내부를 보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의사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작은 실수라도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로봇 복강경수술은 3D 영상을 통해 혈관이나 장기 등을 확대해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고 로봇팔의 관절을 이용해 정교한 수술이 가능해 출혈 같은 손상 위험이 적다"고 말했다.
로봇수술의 장점은 이것만이 아니다. 박성찬 교수는 "특히 전립선을 적출하는 경우, 절제 후 배뇨와 발기기능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꼭 제거해야 할 부분만 완전하게 떼어내고 보존해야 할 부분은 최대한 정교하게 남겨야 한다"며 "수술이나 일반 복강경수술보다 로봇수술이 요실금이나 발기부전 같은 합병증 발생이 적다"고 덧붙여 설명했다.
관련기사
- 유전성 암 유발 '유전자'가 내 몸에 있다!?…"위험도 평가로 맞춤예방을"
- 재발 잦은 '수술 가능 폐암' 새 해법…수술 전과 후 모두 '면역항암제'를
- 10명 중 1명이 앓는 '역류성식도염', 바렛식도→식도암 진행될수도
- 암 진단 아이에게 "암에 대해 숨겨야 한다" vs "암에 대해 알려야 한다"
- 폐암수술 뒤 확인된 폐암 전이가 수술 탓?…'폐암수술' 오해와 진실
- 대장암에 프로바이오틱스 도움될 때 있다?…대장암에 대한 오해와 진실
- 급성골수성백혈병 '저강도항암치료' 개념 변화…완치 혈액암 환자 느나
- 암 환자가 암 진단 직후 '치과'부터 가야 하는 이유
- 수술 불가 위암, 표적항암제·면역항암제로 수술 가능 상태로 바뀐다!
- 90여종의 아형으로 나뉘는 혈액암 '림프종' 치료 중 먹지 말아야 할 것들
- 암 치료 중 주의력·집중력 떨어지는 내 아이!…항암치료 중단 사인?
- 백혈병 앓는 아이에게 'CAR-T 치료제' 효과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나?
- 최근 부쩍 늘고 있는 '자궁경부암', 초기 증상 '무증상'…"검진 필수"
- 4기 대장암 '복막전이'에 이뤄지는 하이펙 치료, 간·폐 전이로 확장
- 악성암 '골수섬유증', 현재 치료 반응 없다?…요즘 활발한 '임상연구' 대안
- '방사선' 몸에 해로운데, 항암치료 중 2~3개월 주기 CT 촬영 괜찮을까?
- 4기 암, 항암치료 언제까지 받아야 하나…힘들 땐 잠시 쉴 수 있나?
- 암 치료성적 변화 이끄는 면역항암제, '이땐' 치료 중단 사인!
- 새 카테고리의 항암제 '항체약물접합체', 왜 마법의 탄환이라 할까?
- 고령 급성골수성백혈병, 완치율 큰 폭 상승…치료성적 반전한 이유있다!
- 폐암 '표적항암제' 별별 부작용…기침·발열·호흡곤란 동반 땐 "약 중단을"
- 치료성적 낮은 공격적 폐암 '소세포폐암' 치료 전략 변화
- 자궁내막증 탓 초래되는 '난소암', 해법 따로 있다!
- "항암치료, 근감소증 유발…암 환자, 주 2회 최소한도 근력운동 권고"
- 난치 뇌암 '교모세포종', 수술·항암·방사선치료 뒤 신약 치료 절실한 까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