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야뇨증’ 가족력 작용…호통‧기저귀 금물, 병원치료로 호전

# 전업주부 김모 씨는 올해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아들이 아직도 밤마다 소변을 가리지 못해 걱정이다. 김 씨는 아들이 학교에 들어가기 전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 새벽에 잠을 깨워 소변을 보게도 했다. 하지만, 증상은 나아지지 않았고, 오히려 김 씨도 아이도 잠을 못 자는 바람에 힘들었다. 

야간에 자는 동안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을 지리는 것을 ‘야뇨증’이라 한다. 5세가 되기 전까지 밤에 소변을 보는 것은 정상 발달 과정 가운데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현상이다. 어린 시절 겪는 흔한 방광 조절 관련 증상이다.

한편 5세가 지났어도 10% 정도의 소아에게 야뇨증이 나타난다. 나이가 들면 대부분 호전해서 15세 정도에 이르면 1%에서 야뇨증을 보인다. 5세가 지난 소아가 수면 중 자신도 모르게 소변을 보는 증상이 일주일에 2회, 3개월 이상 지속하면 ‘소아 야뇨증’으로 진단한다. 

사진출처 : 클립아트코리아(제공 대동병원)
사진출처 : 클립아트코리아(제공 대동병원)

야뇨증이 생기는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가족력과 정서 문제, 방광 기능 발달, 수면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발달지연 증상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 가운데 가족력은 소아 야뇨증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준다. 부모 모두 야뇨증이 있었던 자녀의 77%, 한쪽만 있었던 경우 자녀의 44%가 야뇨증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뇨증 진단은 발생 빈도와 발생하지 않은 기간, 수분 섭취, 소변 횟수, 소변량, 변비 등 배변‧수면 양상 등을 확인한다. 요실금 등 다른 질환과 선별을 위해 소변검사나 요역동학 검사, 잔뇨 검사 등을 한다.  

야뇨증은 비뇨기계‧신경계 등 질환이 없다면 성장과 함께 자연스럽게 호전한다. 하지만, 학교 등 단체 활동을 시작하는 시기에 방치하면 자신감 결여와 수치심‧불안감으로 성장기 인격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만 5세가 지났다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는 의료진과 상담 후 항이뇨호르몬, 방광이완제, 항우울제 등 같은 약물을 단독 또는 병용 복용한다. 보통 일주일 내 효과가 나타나 호전을 보인다. 하지만, 약물치료를 중단하면 증상이 재발하는 만큼 의료진 판단에 따라 약물 복용 중단을 결정하는 게 좋다. 

야간뇨 예방을 위해 아침이나 낮에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저녁 식사 후에는 수분이 많은 음식을 자제하도록 한다. 저녁 식사 시간은 빠를수록 좋고, 맵거나 짠 음식은 삼간다. 자기 전에 소변을 보도록 하며 변비가 있다면 치료하는 것이 좋다. 

생활습관 개선은 1∼2달 이상 시간이 걸리는 만큼 보호자의 적극적인 관심과 함께 아이가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변을 지리지 않은 날에는 칭찬하거나 침구나 젖은 옷을 스스로 세탁하고, 정리하도록 해서 책임감을 강화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대동병원 비뇨의학과 서영은 과장은 “소아에게 나타나는 야뇨증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간혹 아이에게 호통을 치거나 수면에 기저귀를 채우고, 새벽에 깨워 소변을 보게 하는 등 잘못된 방법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며 “생활습관 개선이나 약물로 충분히 호전될 수 있는 만큼 비뇨의학과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