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단체 잇따라 정부에 협의체 구성 제안
의협 "2천명 철회 전에 대화 안 한다" 고수

 '정부와의 대화'를 두고 의료계가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중재자를 자처하며 적극적으로 협의를 요구하는 교수들과 달리 대한의사협회는 의과대학 정원 2,000명 증원 결정 자체를 철회하기 전에는 어떤 대화도 없다는 입장이다. 사진은 지난 2020년 의료계 단체행동 당시 모습.
 '정부와의 대화'를 두고 의료계가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중재자를 자처하며 적극적으로 협의를 요구하는 교수들과 달리 대한의사협회는 의과대학 정원 2,000명 증원 결정 자체를 철회하기 전에는 어떤 대화도 없다는 입장이다. 사진은 지난 2020년 의료계 단체행동 당시 모습.

'정부와의 대화'를 두고 의료계가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중재자를 자처하며 적극적으로 협의를 요구하는 교수들과 달리 대한의사협회는 의과대학 정원 2,000명 증원 결정 자체를 철회하기 전에는 어떤 대화도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 증원 발표 후 가장 먼저 출범한 교수 비상대책 조직인 서울의대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시작부터 협의를 강조했다. 정진행 비대위원장은 지난 17일 수락 연설에서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사회적 협의 진행에 주체적으로 나서겠다"고 했다.

이어 지난 23일 오전 입장문에서 정부에 협상을 요구하며 의료계와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고 나섰다. 이날 저녁에는 정 비대위원장과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 회동이 이뤄졌다. 정 비대위원장은 이날 "상호 상황을 공유하고 갈등 상황을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는 이해와 공감대를 넓혔다"고 밝혔다.

24일에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의료인력 추계를 다룰 협의체 구성을 정부에 제안하면서 "적극적으로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같은 날 연세의대교수평의회도 성명을 내고 정부에 의료인력 문제를 다루는 새로운 협의체 구성을 권했다(관련 기사: 제자 향한 거센 압박에 보호나선 교수들…"중재하겠다").

정부와 의료계 협의 요구는 의대 밖에서도 나왔다. 거점국립대학교수연합회(거국련)가 25일 입장문을 내고 정부와 의료계에 조건 없는 협의를 촉구했다. 정부에 "2,000명 증원 계획을 완화"하고 "현장을 떠난 전공의에게 책임을 묻지 말 것"을 주문했다. 협의체는 의료계는 물론 교육계와 산업계도 참여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서울의대 정 비대위원장 역시 SNS로 정부에 정기적인 협의 모임을 제안했다. 의사 인력 추계부터 양성, 배분까지 함께 논의하자는 것이다. 전공의 사직자에 대한 압박도 중단하라고 했다.

성균관의대교수협의회도 정부와 의협 양측에 "대승적으로 양보"하고 "협상을 시작하라"고 했다.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먼저 결정하고 그 이후는 "여러 직군이 참여하는 새로운 협의체"에서 논의하자고 했다.

2천명 철회 전 "대화도 협의도 없다" 고수하는 의협

현시점에서 정부와 의료계 협의는 미지수다. 정부는 2,000명 증원만큼은 철회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반대로 의협은 2,000명 증원 원점 재검토 결정 전에는 "대화도 협의도 없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의협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전국 의사 대표자 확대회의에서 '선 철회 후 대화' 원칙을 다시 확인했다.

교수 단체의 협의 요구나 중재 제안에도 부정적이었다. 이에 대해 비대위 주수호 언론홍보위원장은 확대회의 후 브리핑에서 "그런 것은 없다"고 했다. 이날 서울의대 정 비대위원장이 정부에 정기 협의체를 제안한 것도 "서울의대 교수 전체 입장인지 위원장 개인 입장인지 확인부터 돼야 (의협 비대위 입장을 낼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교수들도 전체 의사의 생각과 같다. 전공의와 학생이 다치지 않도록 본인이 할 수 있는 일을 다 하겠다는 것이다. 의협 비대위와 생각이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