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털보다 높아…1위는 ‘집먼지 진드기’
가천대 길병원 강성윤 교수 공동연구팀 분석

집먼지진드기가 한국인들에게 가장 많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유발 물질(알레르겐)인 것으로 조사됐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면서 고양이 털에 대한 알레르기 유발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천대 길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강성윤 교수와 강원대학교병원 알레르기내과 권재우 교수, 일산백병원 알레르기내과 정재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알레르겐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비율인 감작률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알레르겐 감작은 알레르기 비염과 알레르기 결막염, 아토피피부염이나 식품알레르기와 같은 알레르기 질환 발병에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알레르기 원인 물질을 식별하는 것은 알레르기 질환 진단과 관리예방에 있어 필수다.

연구팀은 2018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전국 17개 시도 병원을 찾아 ‘다중 알레르기 항원 검사’(MAST)를 받은 19세 이상 성인 19만 6,419명을 대상으로 47개 알레르겐에 대한 감작률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팀 분석 결과, 북아메리카 집먼지 진드기가 전체 대상자 가운데 34.0% 감작률로 가장 높았다. 북아메리카 집먼지 진드기는 다른 집먼지 진드기에 비해 낮은 습도에서도 잘 서식하는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흔한 아파트형 서구식 주거환경에서 많이 발견된다.

역시 집먼지 진드기의 일종인 유럽 집먼지 진드기32.3%2위를 차지했다. ‘집먼지26.2%3위를 기록했다. 이어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수 증가의 영향으로 고양이털13.6%4위로 높은 감작률을 보였다.

바퀴벌레 알레르겐 감작률은 3.2%로 오히려 낮았고, 모든 종류의 곰팡이 감작률도 3%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주거환경 변화와 위생 개선으로 인한 결과로 추정됐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전체 7가구 중 1가구에 해당한다. 고양이보다 개를 키우는 가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연구에서 고양이 알레르겐 감작률이 개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고양이 행동특성으로 인한 알레르겐 노출 가능성과 노출 농도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됐다. 개털의 경우 6.4%로 알레르겐 순위는 전체 47개 가운데 14위 그쳤다.

봄철이나 가을철 알레르기 유발물질로 많이 알려진 꽃가루로 가운데 자작나무가 8.2%로 가장 많았고, 참나무돼지풀쑥과 환삼덩굴이 각각 4.5%, 3.7%, 2.3%의 알레르겐 감작률을 보였다.

가천대 길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강성윤 교수는 가을철 꽃가루 알레르기로 고생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 가장 알레르기 위험에 노출되는 원인은 집먼지 진드기로 나타났다. 이는 알레르겐은 환경과 공간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국민들의 주거환경이나 생활습관이 반영된 알레르겐 감작률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내 성인 알레르겐 감작률과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공간분석을 활용한 지역별 감작률 연구를 제목으로 <Allergy Asthma Respir Dis> 최신 호에 실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