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곳곳서 교수 집단행동 본격화 양상 "제자들에 미안"
학장단 사퇴 이어 비대위 구성…울산의대, 사직서 제출 논의도

의대 학장들의 잇따른 사퇴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사직서 제출도 가시화되는 등 전국 곳곳에서 의대생과 전공의들에 이어 교수 집단행동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청년의사
의대 학장들의 잇따른 사퇴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사직서 제출도 가시화되는 등 전국 곳곳에서 의대생과 전공의들에 이어 교수 집단행동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청년의사

의과대학 교수들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의대 학장들의 잇따른 사퇴 선언이 이어지고 있으며, 사직서 제출도 가시화되는 등 전국 곳곳에서 의대생과 전공의들에 이어 교수 집단행동이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대학 총장들의 무리한 의대 정원 증원 신청과 정부의 미복귀 전공의들에 대한 행정처분 절차 개시가 기폭제가 됐다. 의료현장에 남아 제자들을 대신하면서도 “제자들 뒤에 숨어 떳떳하지 못하다”는 교수들의 불편한 마음을 자극한 셈이다.

대학 본부의 의대 정원 증원 신청을 막지 못했다는 “미안함”은 의대 학장 보직 사퇴로 이어졌다.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5일 원광의대와 경상의대에 이어 가톨릭의대, 순천향대, 이화여대, 경북의대 학장단도 대학 본부의 의대 증원 신청에 반발해 사직을 결정했다.

가톨릭의대 정연준 학장은 지난 6일 입장문을 통해 “교육과 수련 기회를 스스로 포기해야만 하는 학생과 전공의에게 교육자이자 어른으로 얼굴을 들 수 없을 지경”이라며 “의대 학장단은 현 의대 정원 증원 사태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며 사퇴 배경을 설명했다.

지난 7일 일괄 사퇴를 결정한 경북의대 학장단도 “의대 제안을 존중하지 않고 강력한 반대 의견을 수차례 공개적으로 표명했음에도 대학 본부와 총장은 의대에서 도저히 감당하지 못할 수준의 증원 규모를 교육부에 신청했다”며 “교육자로서 의학 교육의 파행을 더는 묵과할 수 없기에 책임을 지고 일괄 사퇴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빅5병원’ 교수들의 집단행동 움직임도 포착된다.

지난 7일 서울아산병원·울산대병원·강릉아산병원 등 수련병원 3곳이 포함된 울산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긴급총회를 열고 ‘사직서 제출’을 결의했다.

사직서 접수 방안과 일정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진 않았으나, 각 병원 비대위가 자발적으로 모아진 사직서를 추후 병원 측으로 일괄 제출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긴급총회에 참석한 울산의대 교수는 총 254명으로 서울아산병원 151명, 울산대병원 48명, 강릉아산병원 55명 등이다.

사직서 제출을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서울의대교수협 비대위는 “제자들에 대한 정부 조치가 법률적으로 부당할 경우 사법적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법리와 법률적 실무능력을 갖춘 조직을 만들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으며, 성균관의대교수협 비대위도 “전공의에 대한 법적 처벌이 진행되다면 교수들은 스승으로서 제자를 지키기 위한 행동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했다.

아주의대교수협도 사태가 지속될 경우 사직할 수밖에 없다고 암시했다.

아주의대 비대위는 "전향적인 상황 전환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젊은 의사들과 학생들은 자신들의 자리로 돌아오지 않을 것이며, 교수들의 어떤 설득과 간청도 이들의 마음을 돌릴 수 없다”며 “이런 사태에 절망해 이미 사직서를 제출한 교수들도 있으며 향후 상황 전개에 따라 더 많은 교수들이 사직의 길밖에 없음을 인정하게 되는 순간이 멀지 않았음을 비통한 심정으로 고백한다"고 말했다.

각 수련병원별 의대 교수들이 주축으로 한 ‘비대위원회’ 구성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서울의대교수협과 성균관의대교수협, 울산의대교수협은 비대위를 구성해 비대위 차원의 방안 모색에 나섰으며, 연세의대교수평의회는 지난 7일 오후 긴급회의에서 비대위를 구성하고 비대위원장 선출을 앞두고 있다.

정부를 상대로 한 의대 교수들의 정원 증원 취소 소송도 추진 중이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지난 5일 서울행정법원에 증원 취소 소송과 집행정치 가처분을 신청했다. 소송에는 전국 33개 의대 교수협의회 대표가 참여한다.

더불어 전의교협은 오는 9일 저녁 서울 모처에서 비공개 긴급총회를 개최한다. 구체적인 안건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겸임해제 등 각 의대별 움직임에 대한 현황 파악과 더불어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의교협 관계자는 “급박하게 상황이 돌아가고 있는 만큼 각 의대별 현황을 파악하고 법 테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대응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코리아헬스로그 자매지 청년의사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헬스로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